코딩을 이제 배우기 시작하는 직장인의 입장에서 파이썬 문법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워나가는 것도 필요하지만, 당장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파이썬 라이브러리 위주로 집중 학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.
이런 관점에서 지난 번 포스팅(http://pydata.tistory.com/1)에서 사용했던 판다스(pandas) 모듈을 계속 활용합니다. 지난 번에는 판다스(pandas) 모듈의 read_html 함수를 사용하여 html 웹 페이지에 있는 모든 표를 가져오는 방법을 배웠는데요. 이번에는 read_csv 함수를 사용하여 CSV 파일을 읽어들이는 과정을 만나보겠습니다.
CSV 파일 다운로드
오늘 활용할 데이터는 KOSPI 상장 주식 종목 리스트입니다. 한국증권거래소(KRX)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상장종목현황(http://marketdata.krx.co.kr/mdi#document=040601)을 제공합니다. KOSPI와 KOSDAQ 종목을 구분하고 있고, 다운받을 컬럼 항목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. 파일 형식은 Excel과 CSV를 지원하는데 우리는 CSV 부분을 클릭해서 CSV 파일을 PC에 저장합니다. 이때 파일명을 'kospi_stock_code.csv'로 바꾸고 파이썬(Python) 실행파일이 위치한 폴더에 저장합니다.
<KRX 한국거래소 상장종목 현황>
<'kospi_stock_code.csv' 파일>
# 판다스 모듈 불러오기 (편의 상, pd라는 이름으로 사용)
import pandas as pd
# csv 파일을 해석하여 dataframe으로 변환하고, stock_data 변수에 저장
stock_data = pd.read_csv('kospi_stock_code.csv')
#종목코드 컬럼만 선택하여 stock_code 변수에 저장
stock_code = stock_data[['종목코드', '기업명']]
결과(stock_code) 확인하기
stock_cod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프레임(dataframe) 내용을 확인합니다. 제일 왼쪽 컬럼(column)의 숫자는 인덱스(index)라고 부르며, '종목코드'와 '기업명'은 컬럼(columns)명이라고 합니다.
데이터프레임에서 컬럼(열)을 선택할 때는 데이터프레임['컬럼명'] 형식으로 지정하는데, 종목코드만 선택하고 싶을 때는 stock_code['종목코드']라고 입력합니다. 로우(행)을 선택하려면 데이터프레임.iloc[인덱스]라고 입력합니다. stock_code.iloc[1]라고 입력하면 AJ렌터카에 대한 정보만을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.
요약하며...
코드를 모아서 정리하면 모두 3줄입니다. 다음 포스팅에서는 종목코드를 이용하여 개별 주식 종목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'파이썬 데이터 분석 > 웹 스크래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6] 파이썬 웹 스크래핑 - 로봇 배제 표준(robots.txt) (0) | 2019.08.02 |
---|---|
[5] 파이썬 웹 스크래핑 - requests 모듈, HTML 소스코드 확인 (0) | 2019.08.01 |
[4] 상장사 재무제표 수집 (pandas) (0) | 2018.08.16 |
[3] 네이버 주식 시세 (주가 정보) 스크래핑(scraping) 예제 (0) | 2018.07.02 |
[1] 환율 정보 데이터 수집 -pandas.read_html (4) | 2018.06.27 |